2025. 7. 14(월) 한자와 명언 旱害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속뜻사전관련링크
본문
2025. 7. 14(월)
한자와 명언(2161)
旱 害
*가물 한(日-7, 3급)
*해칠 해(宀-10, 6급)
옛날 사람들은 날씨를 어떻게 예측했을까? 먼저 ‘여름철에
농작물이 한해를 입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의 ‘한해’는?
①旱海 ②寒海 ③寒害 ④旱害. 답인 ‘旱害’에 대해 샅샅이 익힌 다음에 날씨에 관한 명언 명구를 찾아보자.
旱자는 만 날 햇빛만 쨍쨍하고 비가 오지 않아 ‘가물다’(be droughty)가 본뜻이니
‘해 일’(日)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干(방패 간)이 발음요소임은 汗(땀 한)도 마찬가지다.
害자는 ‘집 면’(宀)과 ‘입 구’(口)가 의미요소이고, 丰(예쁠 봉)이
발음요소라는 설을 포함한 많은 異說(이설)이 있는데, 믿을 만한 것이 없다.
본뜻은 ‘상처’(wound)인데, ‘해치다’(harm) ‘해롭다’(harmful)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旱害(한:해)는 ‘가뭄[旱]으로 인한 피해(被害)’를 이른다. ‘추위로 인한 피해’도 ‘한해’(寒害)이니, 한자로 써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날씨를 이렇게 예측했다.
“가을에 추위가 일찍 닥치면 겨울에는 따뜻하고,
봄에 비가 많이 오면 여름에는 가뭄이 든다.”
秋早寒, 則冬必暖矣;
春多雨, 則夏必旱矣. - ‘呂氏春秋’
●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 위 명언의 출처인 ‘여씨춘추’에 ‘일자천금’이란 고사성어가 대단히 유명합니다.
그래서 인공지능(제미나이)에게 이에 관하여 물어 보았습니다.
*********
여씨춘추와 일자천금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진 고사성어와 고전입니다.
♣여씨춘추는 중국 전국시대 말기, 진(秦)나라의 재상이었던 여불위(呂不韋)가 주도하여 편찬한 대규모의 백과사전식 저서입니다.
(1) 편찬 배경 및 목적: 여불위는 당시 제후들이 유능한 문객들을 모아 학파를
형성하던 시류에 편승하여, 자신의 위세와 지식을 과시하고 나아가 통일 국가의
통치 이념을 정립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수천 명의 학자(문객)들을 모아
각자의 전문 분야에 대해 저술하게 한 뒤, 이를 취합하고 정리하여 '여씨춘추'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의 저서가 아니라, 당시 진나라의 사상적 기반을 다지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었습니다.
(2) 내용: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음양가(陰陽家), 병가(兵家)
등 전국시대의 다양한 제자백가(諸子百家) 사상을 총망라하여 정리했습니다.
어느 한 학파에 치우치지 않고 여러 사상을 융합하려는 시도를 했기 때문에, '잡가(雜家)'의 대표적인 저서로 분류됩니다.
- 십이기(十二紀): 12개월의 자연 변화와 그에 따른 통치자의 역할 및 행동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월령 사상)
- 팔람(八覽): 정치, 윤리, 사회 등 인간 세상의 지배 원칙과 통치 기술을 논합니다.
- 육론(六論): 학문, 사상, 개인의 수양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3) 의의: 혼란스러운 전국시대 말기에 통일될 국가의 이상적인 통치 질서를
모색하려 했던 시도로 평가됩니다. 당시의 다양한 지식과 철학을 한데 모아 정리했다는 점에서 후대 중국 사상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합니다.
♣일자천금(一字千金)
일자천금은 '한 글자가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매우 훌륭한
글이나 문장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고사성어는 바로 여씨춘추와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1) 유래: 여불위는 여씨춘추의 편찬을 마친 후, 이 책의 내용에 대한 극도의
자부심을 표현했습니다. 그는 책을 진나라 수도 함양의 시장 문에 걸어놓고 다음과 같이 공표했습니다.
"이 책에서 한 글자라도 더하거나 뺄 수 있는 사람에게는 천금을 주겠다!"
하지만 당시 수많은 학자들이 이 책을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감히 어느 누구도 한 글자도 고치지 못했다고 합니다.
(2) 의미:
- 뛰어난 문장력: 글이나 문장이 매우 뛰어나서 고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완벽하다는 것을 칭찬할 때 사용됩니다.
- 내용의 완벽성: 단순히 문장뿐 아니라 내용의 정교함,
사상의 깊이, 구성의 짜임새 등이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다는 의미도 포함합니다.
♣결론적으로, 여씨춘추는 여불위의 지적 야심과 통치 철학이 담긴 백과사전적
저서이며, 일자천금은 그 여씨춘추의 완벽함을
강조하고자 했던 여불위의 일화에서 비롯된 고사성어로, 뛰어난 문장이나 작품을 칭송할 때 사용됩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